[Heroku] Heroku and Github : Items could not be retrieved, Internal server error
푸고배
2022. 5. 5. 17:42
node로 만든 개인프로젝트를 간단하게 호스팅하기 위해서 Heroku를 사용하고 있다.
원래는 Heroku Git CLI를 사용하다가, Deployment method 중 Connect to Github로 Automatic deployment가 가능하길래 후자를 사용하던 중이었다. 그러나, 메일로 날라온 Automatic deployment Fail 안내
An automatic deployment for bus-information-site failed. The build failed with the message Unauthorized. Token from user was used to interact with GitHub. This account was matched as the GitHub committer.You can also check that the user who connected the app or pipeline to GitHub still has access to the app and to the Github repository.In this case, reconnecting to GitHub will often fix the issue.If you believe that this build failure was not due to an issue in your app, please open a support ticket.
Automatic deployment
Heroku는 Github와 통합되어 Github에 있는 코드를 Heroku에서 실행되는 앱에 쉽게 배포할 수 있다. Github 통합이 Heroku 앱에 대해 구성되면 Heroku는 자동으로 빌드 및 릴리즈(빌드가 성공한 경우)를 지정된 GitHub repository로 푸시할 수 있다.
자동 배포는 GitHub Branch에 대한 자동 배포를 활성화하면 Heroku가 모든 푸시를 빌드하고 해당 branch에 배포한다. 예를 들어 Heroku에 개발 앱이 있는 경우 Github development branch에 대한 푸시가 자동으로 빌드되고 해당 앱에 배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자동화된 지속적 통합(예: Travis CI 사용)을 사용하도록 GitHub Repository를 구성한 경우 "배포 전에 CI가 통과할 때까지 대기"(위 사진에서 Wait for CI to pass before deploy) 확인란을 선택할 수 있다. 활성화되면 Heroku는 관련된 커밋의 모든 커밋이 success가 된 후에만 자동 배포한다.
왼쪽 커밋은 하나가 pending 상태이기 때문에, 자동 배포가 실행되지 않으나, 오른쪽은 모든 상태가 success이기 때문에 자동 배포가 실행된다.
2022년 4월 16일 오후 5시(태평양 표준시)에 Salesforce는 Heroku Dashboard GitHub 통합에서 모든 OAuth 토큰의 해지를 완료했습니다. 이전에 언급했듯이 이렇게 하면 Heroku 대시보드 또는 Heroku 자동화를 통해 GitHub에서 앱을 배포할 수 없으며 대시보드의 일부 다른 작업은 더 이상 작동하지 않습니다. Heroku 대시보드를 통해 GitHub에 다시 연결할 수 없지만 다음 문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코드 배포 방법을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