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HTML5 & CSS & JavaScript
쿠키 vs 세션 vs 웹 스토리지(로컬 스토리지, 세션 스토리지)
푸고배
2022. 1. 2. 15:26
HTTP 프로토콜의 한계를 보안하기 위해 쿠키 또는 세션을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HTTP 프로토콜 환경은 비연결지향(connectionless), 무상태(stateless)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요청만으로 서버는 클라이언트를 구별할 수 없다.
- 비연결성지향(connectionless)
- HTTP는 먼저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서버에 보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에 맞는 응답을 보내고 TCP/IP 연결을 끊는 특성이다.
- HTTP 1.1에서는 헤더에 keep-alive라는 값을 줘서 커넥션을 재활용한다.
- 무상태(stateless)
- 연결을 끊는 순간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이 끝나며 상태 정보를 유지하지 않는 특성이다.
쿠키(Cookie)
-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 저장되는 키와 같이 들어있는 작은 파일이다.
-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로컬에 저장했다가 참조한다.
- 클라이언트에 300개까지 쿠키저장 가능, 하나의 도메인당 20개의 값만 가질 수 있으며, 하나의 쿠키값은 4KB까지 저장이 가능하다.
- Response Header에 Set-Cookie 속성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만들 수 있다.
- 쿠키는 사용자가 따로 요청하지 않아도 브라우저가 Request 시에 Request Header를 넣어서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한다.
세션(Session)
- 사용자 정보를 파일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쿠키와 달리 세션은 서버 측에서 관리한다.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부여하며,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접속해서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인증상태를 유지한다.
- 접속 시간에 제한을 두어 일정 시간 응답이 없다면 정보가 유지되지 않게 설정 가능하다.
- 데이터를 서버에 두기 때문에 쿠키보다 보안에 좋지만,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게 된다.
쿠키와 세션 간단 비교
- 데이터 저장위치; 쿠키는 클라이언트, 세션은 서버
- 보안; 저장위치 때문에 쿠키는 스니핑에 당할 우려가 있지만, 세션은 쿠키를 이용해 세션 아이디만 저장하고 서버에서 처리하기때문에 보안성은 쿠키<세션
- 라이프 사이클; 쿠키는 브라우저를 종료해도 만료기간이 남아있으면 존재, 세션은 브라우저 종료 시 만료기간에 상관없이 종료
- 속도; 쿠키>세션
웹 스토리지(Web Storage)
- 클라이언트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HTML5부터 추가된 저장소
- 간단한 Key-Value 스토리지 형태
- 쿠키와 달리 자동 전송의 위험성이 없음
- 오리진(Origin)(도메인,프로토콜,포트) 단위로 접근이 제한되는 특성 덕분에 CSRF로 부터 안전
- 쿠키보다 큰 저쟝 용량 지원(모바일 2.5MB, 데스크탑 5~10MB)
- 서버가 HTTP 헤더를 통해 스토리지 객체를 조작할 수 없음(웹 스토리지 객체 조작은 JavaScript 내에서만 수행)
- 오직 문자형(string) 데이터 타입만 지원
- 로컬 스토리지(Local Storage)와 세션 스토리지(Session Storage)가 있으며, 같은 Storage 객체를 상속하기 때문에 메서드가 동일
로컬 스토리지(localStorage)
- 사용자가 데이터를 지우지 않는 이상, 브라우저나 OS를 종료해도 계속 브라우저에 남아있음 (영구성)
- 단, 동일한 브라우저를 사용할 때만 해당
- 지속적으로 필요한 데이터 저장(자동 로그인 등)
세션 스토리지(sessionStorage)
- 데이터가 오리진 뿐만 아니라 브라우저 탭에도 종속되기 때문에, 윈도우나 브라우저 탭을 닫을 경우 제거
- 일시적으로 필요한 데이터 저장(일회성 로그인 정보, 입력폼 저장 등)
Reference
반응형